교육과정
전공교육과정
이수영역 | 학년 | 학기 | 학수번호 | 교과목명 | 학점 | 이론 | 실습 | 설계 (캡스톤) |
기타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기초 | 1 | 1 | MSE101 | 기계공학개론 | 3 | 3 | 0 | |||
2 | CCE151 | 정역학 | 3 | 3 | 0 | |||||
2 | 1 |
CCE251 CCE252 MSC009 CCE201 CCE253 |
기계재료역학 기계열역학 공업수학 전기전자공학 기계시스템공학전공진로탐색 |
3 3 3 3 1 |
3 3 3 3 1 |
0 0 0 0 0 |
||||
2 |
CCE254 CCE255 CCE256 CCE257 CCE202 |
CAD 기계동역학 기계유체역학 고급공업수학 공학프로그래밍 |
3 3 3 3 3 |
3 3 3 3 2 |
0 0 0 0 2 |
|||||
전문 | 3 | 1 |
MSE301 MSE302 MSE303 MSE304 MSE305 |
제어공학 신재생에너지실험 기계재료 기계요소설계 응용CAD및유한요소법 |
3 3 3 3 3 |
3 0 3 3 3 |
0 6 0 0 0 |
|||
2 |
MSE306 MSE307 MSE308 MSE309 MSE310 |
3D역설계 윤활공학 스마트자동차공학 열전달 진동소음공학 |
3 3 3 3 3 |
0 3 3 3 3 |
6 0 0 0 0 |
|||||
4 | 1 |
MSE401 MSE402 MSE403 MSE404 MSE411 MSE412 |
스마트로봇공학 혁신기계설계 기계시스템창업 기계시스템공학종합설계1 기계공작법 유압공학 |
3 3 2 3 3 3 |
3 2 0 3 3 3 |
0 0 0 0 0 0 |
3 |
|||
2 |
MSE406 MSE407 MSE408 MSE409 |
기계상태진단 전지공학 기계시스템공학취업세미나 기계시스템공학종합설계2 |
3 3 2 3 |
3 3 2 0 |
0 0 0 0 |
3 |
||||
3,4 | 학기별 | MSE341 MSE342 |
연구세미나1 연구세미나2 |
3 3 |
0 0 |
6 6 |
||||
여름계절 | MSE405 |
기계시스템공학현장실습2 |
3 | 0 | 160 | 현장실습 | ||||
겨울계절 | MSE311 | 기계시스템공학현장실습1 | 3 | 0 | 160 | 현장실습 |
강좌요목서
과목명 | 내용 |
---|---|
CCE101 창의융합공학의 이해 (Introduction of Creative and Fusion Engineering) |
창의융합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창의융합공학의 목적, 기계공학, 원자력에너지시스템공학, 안전공학, 전자정보통신공학을 팀티칭한다. |
CCE151 정역학 |
|
CCE251 기계재료역학 (Mechanics of Materials) |
응력 및 변형률, 변형 및 변위, 굽힘 및 비틀림, 전단 및 안정성과 같은 기본개변을 포함하여 인장, 압축, 비틀림 및 굽힘을 받는 구조용 부재의 해석과 설계에 대한 내용을 강의한다. |
CCE252 기계열역학 (Thermodynamics) |
열에너지를 기계적인 에너지로 전환시키는 과정의 역학적 이론 및 사이클 기계시스템의 경제성 및 효율성 향상방법을 공부하여 발전소, 보일러 및 우주선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 |
MSC009 공업수학 (Engineering Mathematics) |
기계공학 전공에 필요한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을 학습하는 과목으로 상미분 방정식, 선형대수, 벡터미적분을 다룬다. |
CCE201 전기전자공학 |
|
CCE253 기계시스템공학전공진로탐색 (Career Exploration) |
기계공학관련 진로 및 취업방향을 학습하고 개인별 진로방향을 스스로 파악하여 개발한다. |
CCE254 CAD (Computer Aided Design) |
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기계부품 및 시스템 설계를 하고 제조에 필요한 정보를 도면화하는 전산체제의 이론적 배경, 운영 기법, 결과 해석방법을 습득한다. |
CCE255 기계동역학 (Dynamics) |
기계시스템의 운동에 관한 학문으로서, 기계시스템의 동적 해석을 위한 동적 모델링 방법을 다룬다. 이를 위해 입자와 강체의 기구학과 동역학을 공부한다. |
CCE256 기계유체역학 (Fluid Mechanics) |
기체와 액체 등 유체의 운동을 다루는 학문으로, 정지하고 있거나 운동하고 있을 때의 평형상태 및 운동 또는 유체가 그 안에 있는 물체에 미치는 힘의 관계를 공부하여 자동차, 선박 및 항공기 등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. |
CCE257 고급공업수학 (Advanced Engineering Mathematics) |
이론의 산업적용 및 실험결과의 이론적인 타당성을 수학적인 관점에서 해결하는 과목으로 벡터적분, 편미분방정식, 복소적분, 라플라스방정식을 포함한 응용수학을 다룬다. |
CCE202 공학프로그래밍 |
|
MSE301 자동제어 (Automatic Control) |
시스템 제어를 위한 동적모델링, 기본제어, 시스템 응답 및 오차해석, 근궤적법 등을 통하여 시스템 구성이나 파라메타의 설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. |
MSE 301 자동제어 Automatic Control |
시스템 제어를 위한 동적모델링, 기본제어, 시스템 응답 및 오차해석, 근궤적법 등을 통하여, 시스템 구성이나 파라메타의 설계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. |
MSE302 신재생에너지실험 (Experiment in New and Renewable energy) |
신재생에너지(태양광, 풍력, 수력) 실험을 수행하여 시스템 설계능력을 배양한다. |
MSE303 기계재료 (Machine Materials) |
기계재료는 기계의 다양한 재료와 재료의 기본적인 물성치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다. |
MSE304 기계요소설계 |
|
MSE305 유한요소법 |
|
MSE306 3D역설계 (3D Reverse Engineering) |
산업에 활용중인 기계시스템을 완전 분해하여, 구성된 요소부품을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도면작성 및 재제작한 후, 부품간의 원활한 운동을 역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보완하여 역설계 능력을 향상시킨다. |
MSE307 윤활공학 (Tribology) |
윤활공학은 기계시스템의 신뢰성과 관련된 마찰, 마모, 윤활 등을 소개한다. |
MSE308 자동차공학 (Automotive Engineering) |
자동차의 기본구조, 전기 및 전자장치, 동력전달장치, 연소, 배출가스 등을 강의하고 첨단 융합기술이 포함된 그린카 (친환경자동차) 및 스마트카 (지능형자동차)에 대한 발전방향과 산업화에 필요한 핵심적인 기술내용을 소개한다. |
MSE309 열및물질전달 (Heat and Mass Transfer) |
열 및 물질전달의 기본개념을 파악하고, 1차원 및 2차원 정상열전도, 비정상열전도, 대류열전달, 물질전달 그리고 표면사이의 복사열전달에 대한 원리 및 기본방정식을 강의한다. |
MSE310 기계진동학 |
|
MSE311 기계시스템공학현장실습 (Mechanical Engineering Field Practice) |
기계공학 관련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지식을 익히고, 실습을 통해 현장실무 역량을 배양한다. |
MSE401 메카트로닉스공학 (Mechatronics) |
기계의 운동을 지배하는 근본 원리와 해석이론에서 시작해 컴퓨터를 이용해 기계요소를 설계하고 가공까지하는 기계 공학, 아날로그와 디지털 전기전자회로 이론 및 응용 등을 다루는 전자공학, 기계·전자의 복합적 구성체를 하나의 통합된 시스템으로 해석하고 설계하는 시스템공학 분야 등으로 나누어 학습한다. |
MSE402 응용기계설계 (Applied Machine Design) |
설계 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계요소의 설계를 실습하는 기회를 제공한다. |
MSE403 기계시스템창업 |
|
MSE404 기계시스템공학종합설계I (Mechanical Engineering Capstone Design 1) |
기계부품설계에 필요한 이론 습득과 수행한 실험을 바탕으로, 기계시스템을 기획→설계→제작하는 전 과정을 경험토록 하여, 산업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창의적인 기술능력 개발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. |
MSE405 기계시스템공학현장실습 (Mechanical Engineering Field Practice) |
기계공학 관련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실무지식을 익히고, 실습을 통해 현장실무 역량을 배양한다. |
MSE406 기계상태진단 (Machine Condition Diagnosis) |
기계상태진단은 기계의 상태를 평가하는 윤활유 분석, 열화상 등의 기법 등에 대해 소개한다. |
MSE407 전지공학 (Fuel Cells and Secondary Batteries) |
연료전지 및 이차전지의 개념부터 수소 경제, 연료 전지 응용처, 연료전지 기초 열역학, 연료전지 전기화학, 전하 전달 등의 내용을 다룬다. |
MSE408 기계시스템공학취업세미나 |
|
MSE409 기계시스템공학종합설계II (Mechanical Engineering Capstone Design II) |
기계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이론습득과 수행한 실험을 바탕으로, 시스템제어를 기획→설계→제작하는 전 과정을 경험토록 하여, 산업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창의적인 기술능력 개발 및 실무능력을 배양한다. |